2025년 현재,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한 다양한 정책 금융상품들이 운영 중입니다.
그 중에서도 특히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는 두 가지가 청년도약계좌와 청년내일저축계좌입니다.
두 상품 모두 정부가 일정 금액을 보태주는 '매칭형 저축 계좌'라는 공통점이 있지만, 가입 조건과 혜택, 만기 수령액 등에서 차이가 큽니다.
✅ 기본 비교표
가입 연령 | 만 19~34세 | 만 15~39세 (소득 조건에 따라 상이) |
개인 소득 요건 | 연 소득 7,500만 원 이하 | 월 소득 10만~250만 원 사이 |
가구 소득 요건 | 중위소득 250% 이하 | 중위소득 100% 이하 |
저축 기간 | 5년 | 3년 |
월 납입액 | 최대 70만 원 | 월 10~50만 원 |
정부지원 | 월 최대 3.3만 원 | 월 최대 30만 원 (소득 수준별 차등) |
만기 수령액 | 최대 약 5,000만 원 | 최대 약 1,440만 원 |
신청 방법 | 협약 은행 앱 비대면 신청 |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 방문 |
✅ 핵심 차이점 요약
1. 자격 조건의 차이
청년도약계좌는 중산층 이상 청년도 포함하는 비교적 넓은 소득 구간을 대상으로 합니다. 반면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차상위계층 이하 저소득 청년을 우선 지원합니다.
특히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수급자, 차상위계층일수록 더 큰 지원을 받을 수 있어요.
2. 저축 기간과 수령 금액의 차이
도약계좌는 5년, 내일저축계좌는 3년이기 때문에, 단기 목돈 마련 목적이라면 내일저축계좌가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 월 납입 여력이 있고 장기적으로 더 많은 자산을 모으고 싶다면 청년도약계좌가 유리합니다.
3. 신청 방법의 차이
청년도약계좌는 일반 은행 앱으로도 쉽게 가입할 수 있습니다.
반면 청년내일저축계좌는 사회보장 성격이 강해 복지로 홈페이지 또는 주민센터 방문이 필요합니다.
✅ 실제 사례로 알아보는 선택 기준
예시 A – 월급 250만 원, 중위소득 180% 이하 청년
→ 청년도약계좌 가능. 매달 50만 원 납입 시 정부 지원 + 이자까지 만기 수령액 3,000만 원 이상 가능.
예시 B – 근로소득 월 80만 원, 차상위계층
→ 청년내일저축계좌 추천. 정부 지원만으로 월 30만 원이 적립되고 3년 후 1,400만 원 가까이 모을 수 있음.
✅ 결론
- 장기 저축과 고액 자산 형성을 원한다면 → 청년도약계좌
- 단기 목돈 마련, 저소득층이라면 → 청년내일저축계좌
두 상품 모두 훌륭한 제도지만, 무조건 “더 많이 주는 상품”보다 내가 가입 가능한 조건과 저축 가능 기간, 생활비 부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.
'이런 것도 써봅니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엑셀에서 날짜 자동 계산하는 법 – DATEDIF와 TODAY 함수 활용 (0) | 2025.05.20 |
---|---|
엑셀 기초 정리 – 셀, 행, 열 개념부터 차근차근 (0) | 2025.05.20 |
✅ 2025년 5월 신청 가능한 정부지원금 총정리 (0) | 2025.05.18 |
금리 매력 떨어진 저축은행, 수신 잔액 8개월 만에 100조 원 무너졌다 (2) | 2025.05.18 |
💸 하루 5분으로 커피값 벌기 – MMF통장 이자루틴 공개 (1) | 2025.05.17 |